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웹 클러스터
    CS지식의 정석/네트워크 2023. 12. 2. 00:11

    웹 클러스터(web cluster)란?
    네트워크에 접속된 여러 개의 서버를 하나로 연결하여 하나의 컴퓨터처럼 동작하도록 만드는 기법

     

    웹 클러스터가 갖추어야 할 기능

    1. 다수의 서버에 연산을 분배 공유할 수 있는 부하 분산 기능

    2. 특정 서버의 문제가 전체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페일 세이프 기능(fail safe)

    3. 특정 서버의 갱신 내용을 다른 서버에 전달하기 위한 실시간 동기화 기능

    등이 있다.

     

     

    웹 클러스터를 구현하는 방식(아키텍처에 따른 분류)

    1. 라운드로빈 DNS(round-robin DNS)

    2. 브로드캐스팅(broadcating)

    3. 직접 라우팅(direct routing)

    4. 디스패쳐(dispatcher)

    등이 있다.

     

    1) 라운드로빈 DNS(round-robin DNS) 방식

   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의 도메인을 DNS 서버를 통해 IP 주소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DNS서버에 IP변환을 요청할 때마다 다른 서버의 IP를 알려주어 부하를 분산하는 방식.

     

    장점

    - 서버의 운영체제에 비종속적

    - 적은 기회비용으로 손쉽게 구축 가능

    단점

    - 매번 IP를 질의하기 때문에 연결 지연이 존재

    - DNS 서버가 웹 클러스터 서버의 장애여부를 파악하지 못하므로 파일 세이프 기능을 구현할 수 없다.

     

    2. 브로드캐스팅(broadcating) 방식

    물리적으로 네트워크에 도달한 트래픽을 모든 서버에 전달시키고, 그 중 특정 한 서버만이 응답을 하는 방식

     

    장점

    - 병목현상을 발생 시키는 지점이 없게 된다.

    단점

    - 서버 운영체제의 이더넷 어뎁터를 수정해야한다.(때문에 소스코드가 공개되어야 하고, 수정이 안되는 운영체제는 사용X)

    - 불필요한 트래픽이 증가

     

    3. 직접 라우팅(direct routing) 방식

    요청을 중계해주는 서버를 통해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서비스 서버에 연결하는 방식(최초에만 중계서버, 이후는 직접 통신)

     

    장점

    - 중계 서버의 다양한 트래픽 집중화를 막을 수 있다.

    - 중계서버의 트래픽 분배 정책에 따라 트래픽을 어느정도 분배 가능

    단점

    - 운영제체에 제약이 있다.

    - 트래픽 처리량을 정확히 알 수 없다.(연결 최초에만 도와주기 때문에)

     

    4. 디스패쳐(dispatcher) 방식

    직접 라우팅과 비슷하지만 앞에 중계 서버가 하나 더 존재하고 모든 요청이 중계 서버를 통한다.

     

    장점

    - 모든 요청과 응답을 감시하기 때문에 서버의 상태 파악이 수월

    - 운영체제에 자유롭다

     

    단점

    - 단일 병목 지점이 될 수 있다.(모든 트래픽을 감당)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Reference

    이금은, 「웹서버 과부하 방지를 위한 효과적인 트래픽 조절 방법 = (An) Efficient Traffic Controlling Scheme for Webservers Overload Protection」, 순천 : 순천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, 2003

Designed by Tistory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