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IPv4, IPv6
    CS지식의 정석/네트워크 2023. 10. 24. 02:27

    IPv4란

    - 32비트로 표현되는 주소체계

    (8비트 x 4)

    - 주소 부여 : IP주소 클래스에 따라부여함

     

    IPv6이란

    - 128비트로 표현되는 주소체계

    (16비트 x 8)

    - 주소부여 : 규모 및 단말기 수에 따른 순차적으로 부여

     

    차이

    - 주소의 갯수

    - IPv6에는 불필요한 헤더를 삭제함(불필요한 정보를 삭제하여 효율성 극대화)

    - IPv4는 헤더가 가변길이이지만 IPv6는 고정길이(40바이트)

    - IPv4에는 체크섬이 있지만, IPv6에는 체크섬이 없다.

    (CRC를 통해 손상된 패킷을 확인하고 폐기하는 체크섬을 IPv6에는 사용하지 않는다.

    왜냐하면 상위 프로토콜(TCP, UDP)에서 이미 체크섬 필드가 있기 때문에 효율성을 올리기 위해 폐지함.)

     

    *CRC : Cyclic Redundancy Checking(순환 중복검사) 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전달된 데이터에 오류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체크값을 결정하는 방식이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무엇이 더 빠를까?

    - 보통은 IPv6가 빠르고, 보안적인 측면에서도 좋지만, IPv6가 기본적으로 패킷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일부 사례에서는  IPv4가 더 빠를 수도 있다.(하지만 사실 두 속도는 거의 차이가 없다.)

    'CS지식의 정석 >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    HTTP/1.0과 HTTP/1.1  (0) 2023.10.27
    클래스 풀과 클래스 리스  (0) 2023.10.24
    MAC주소, ARP, RARP  (0) 2023.10.22
    라우팅  (0) 2023.10.22
    TCP의 연결성립(3웨이 핸드셰이크, 4웨이 핸드셰이크, TIME_WAIT)  (0) 2023.10.22
Designed by Tistory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