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HTTP/1.0과 HTTP/1.1CS지식의 정석/네트워크 2023. 10. 27. 23:00
HTTP/1.0
수명이 짧은 연결이라고 한다.
HTTP 요청당 TCP 핸드셰이크가 발생되며 한 연결당 하나의 요청을 처리한다.
즉, HTTP 한번 요청시, 한번의 연결당 하나의 처리만 해야하니 여러번의 연결이 발생하고
RTT(왕복지연시간)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.
HTTP/1.1
1.0의 문제점을 보완한 프로토콜
차이점
1. keep-alive default
헤더에 Keep-Alive값을 추가하여 TCP 연결 유지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.
즉, 연결 지속성이 증가하여
쓸데 없는 연결과 연결 해제 기능을 실행하지 않아, 서버에 대한 부하를 줄이고 속도를 개선
2.파이프라이닝
한번에 요청하고 받은 요청을 한번에 처리 할 수 있다.
응답속도를 높여 뷰의 속도를 높일 수 있다.
3. 호스트 헤더
기존 HTTP/1.0은 서버가 하나의 호스트만 가지는 것으로 가정하지만
사실 서버는 여러개의 호스트를 가질 수 있어
HTTP/1.1은 헤더에 호스트 정보를 포함해서 요청한다.
즉, 서버 1대가 여러 개의 Host를 담당할 수 있다
4. 프록시 인증 도입
보안강화 및 네트워크 트래픽 최적화 등등
문제점
HOL와 무거운 헤더를 가지는 문제점이 있었다.
*HOL : 네트워크에서 같은 큐에 있는 패킷이 그 전 패킷에 의해 지연될때 발생하는 성능저하현상
'CS지식의 정석 >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TTP/2와 HTTP/3 (0) 2023.10.28 RTT를 감소시키기 위한 기술들 (0) 2023.10.27 클래스 풀과 클래스 리스 (0) 2023.10.24 IPv4, IPv6 (0) 2023.10.24 MAC주소, ARP, RARP (0) 2023.10.2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