분류 전체보기
-
IPv4, IPv6CS지식의 정석/네트워크 2023. 10. 24. 02:27
IPv4란 - 32비트로 표현되는 주소체계 (8비트 x 4) - 주소 부여 : IP주소 클래스에 따라부여함 IPv6이란 - 128비트로 표현되는 주소체계 (16비트 x 8) - 주소부여 : 규모 및 단말기 수에 따른 순차적으로 부여 차이 - 주소의 갯수 - IPv6에는 불필요한 헤더를 삭제함(불필요한 정보를 삭제하여 효율성 극대화) - IPv4는 헤더가 가변길이이지만 IPv6는 고정길이(40바이트) - IPv4에는 체크섬이 있지만, IPv6에는 체크섬이 없다. (CRC를 통해 손상된 패킷을 확인하고 폐기하는 체크섬을 IPv6에는 사용하지 않는다. 왜냐하면 상위 프로토콜(TCP, UDP)에서 이미 체크섬 필드가 있기 때문에 효율성을 올리기 위해 폐지함.) *CRC : Cyclic Redundancy Che..
-
라우팅CS지식의 정석/네트워크 2023. 10. 22. 03:23
1. 라우팅 데이터를 보낼 때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는 프로세스 2. 라우터 데이터를 전달하는 장치. 라우터의 기본기능 - 1) 경로 결정 지연, 용량 및 속도와 같은 네트워크 지표를 분석하여 최상의 경로를 찾으려고 시도 - 2) 데이터 전달 라우터는 선택한 경로의 다음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달하여 최종적으로 대상에 도달하도록 한다. - 3) 로드 밸런싱 경우에 따라 라우터가 여러 경로를 사용하여 동일한 데이터 패킷의 여러 사본을 전송할 수도 있습니다. 이 방법을 통해 데이터 손실로 인한 오류를 줄이고 이중화를 구현하고 트래픽 볼륨을 관리합니다. 3. 라우팅 테이블 IP주소를 기반으로 라우터의 위치를 저장한 테이블 또는 데이터 베이스. 1) 구성요소 - 네트워크대상 : 목적지 IP 주소 - 서브넷 마스크 ..
-
TCP의 연결성립(3웨이 핸드셰이크, 4웨이 핸드셰이크, TIME_WAIT)CS지식의 정석/네트워크 2023. 10. 22. 03:19
TCP의 연결 3-웨이 핸드셰이크 1. SYN 단계 : 서버에 클라이언트의 ISN을 담아 SYN을 보낸다 2. SYN + ACK 단계 : 서버는 SYN을 수신하고 서버의 ISN을 보내며, 승인번호로 클라이언트의 ISN+1을 보낸다 3. ACK 단계 : 클라이언트는 서버의 ISN+1한 승인번호를 담아 ACK를 보낸다. *ISN : Initial Sequence Number(초기 순서 번호), 이 값을 통해 데이터 스트림의 시작 위치를 식별 *SYN : TCP에서 사용되는 통신 시작을 나타내는 플래그(Flag) 중 하나 *ACK : TCP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받았음을 나타내는데 사용하는 플래그 *ISN을 1씩 증가시키는 이유 : 보안과 예측 불가능성을 높이기 위함 TCP가 신뢰성 있는 이유이..
-
TCP/IP 인터넷 계층CS지식의 정석/네트워크 2023. 10. 22. 02:52
Internet 계층 IP, ICMP, ARP가 대표적이며 한 노드에서 다른 노드로, 전송 계층에서 받은 세그먼트 또는 데이터그램을 패킷화 하여 전송 IP(Internet Protocol) : 비신뢰성, 비연결지향 데이터그램 프로토콜. ARP(Address Resolution Protocol) : IP주소를 MAC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. RARP(Reverse ARP) : MAC주소로 IP주소를 찾는 프로토콜. ICMP(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) : 상태 진단 메시지 프로토콜. 노드와 노드 사이에서 통신이 잘되나를 확인할 때 쓰는 프로토콜(대표적인 프로그램은 ping이 있다.) IGMP(Internet Group Message Protocol) : 멀티캐스트용 프로토..
-
TCP/IP 전송계층(TCP, UDP)CS지식의 정석/네트워크 2023. 10. 22. 02:42
Transport 계층 TCP, UDP가 대표적이며 데이터를 쪼개고, 데이터가 오류없이 순서대로 전달되도록 도움을 준다. TCP 가상회선패킷교환방식 가상의 회선을 통해 순서대로 패킷을 전송한다. 흐름제어(속도제어)와 혼잡제어(패킷수제어)를 한다. 오류검사 메커니즘 1. 재전송 : n초가 지나면 서버는 전달되지 않은 데이터에 대해 재전송을 시도함 2. 체크섬 : 송수신된 데이터를 체크하여 무결성을 평가함 UDP 데이터그램패킷교환방식 데이터를 쪼개서 각각 전송한다.(순서 보장 x) 오류검사 메커니즘 1. 체크섬 차이점 비교를 위한 그림 Reference https://www.inflearn.com/course/%EA%B0%9C%EB%B0%9C%EC%9E%90-%EB%A9%B4%EC%A0%91-cs-%ED%8..
-
TCP/IP 응용계층(MTU, HTTP, SSH, FTP, SMTP)CS지식의 정석/네트워크 2023. 10. 22. 02:33
MTU(Maximum Transimission Unit 최대 전송 단위) -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가 받아들일 수 있는 최대 데이터 패킷의 크기 - IPv6 은 분할되지 않는다. - (MSS + IP헤더, TCP헤더) = MTU *MSS : TCP 상에서 전송할 수 있는 사용자 데이터의 최대 크기 HTTP 서버와 브라우저, 서버와 서버간에 통신을 하기 위해 설계된 프로토콜 특징 - 헤더를 통한 확장이 쉽다. - stateless하다 SSH 보안되지 않은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서비스를 안전하게 운영하기 위한 암호화 네트워크 프로토콜 FTP 노드와 노드간의 파일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프로토콜 (현재는 FTPS와 SFTP로 대체 되고 있다) *FTPS : TLS/SSL을 거쳐서 공개키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..